상세설명
작은 기공이 많은 납작하고 둥근 현무암 자갈돌의 한쪽면에 오목한 홈을 만든 것이 오목돌이다. 오목돌은 원기둥 모양의 공이와 함께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반도의 선사유적에서도 간혹 발견되지만, 제주지역에서는 청동기시대부터 탐라시대에 걸쳐 많은 양이 발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사시대에는 식물성 음식의 가공을 위해 갈돌과 갈판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오목돌 역시 비슷한 용도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오목돌의 구멍이 얕고 지름이 2~3cm에 불과하여 주식으로써 많은 양을 소비하던 식물성 음식물을 가공하기에는 불충분하며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