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관람시간
09:00 ~ 18:00
휴관일
1월 1일, 설, 추석, 매주(월)
인스타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유투브
정보공개
관람안내
예약정보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제주박물관
KOR
ENG
JPA
中國語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안내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인사말
관람/예약안내
관람안내
예약안내
시설소개
배치안내도
대관안내
발자취
조직안내
미션
오시는길
전시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상설전시
중앙홀
섬, 제주
선사시대 제주
섬마을의 발전과 변화
탐라국
고려시대 제주
조선시대 제주
제주섬 사람들
기증문화재
특별전시
진행전시
지난전시
예정전시
야외전시
실감영상실
온라인전시관
교육/행사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교육프로그램
어린이/청소년
학교연계
성인
문화소통
특별전연계
문화행사
토요박물관산책
설, 추석명절행사
어린이문화재그리기만들기
문화가 있는날
교육자료실
온라인배움터
오디오클립
이달의행사
소장자료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학술연구
발간도서
소장품복제, 열람
소장품복제안내
소장품열람안내
보존처리
문화재
철제
복식
회화
문화재기증
기증 안내
기증 목록
수어동영상
소장품검색
참여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박물관소식
새소식
채용정보
고시공고
자원봉사
학생봉사활동
성인자원봉사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관련기준및서식
정보공개수수료
사전정보공표
정보공개자료
정보공개청구신청
공공데이터개방
어린이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어린이박물관 소개
어린이박물관 구석구석
관람안내/ 관람TIP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사이트맵(누리집지도)
본인확인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민원
저작권정책
설문조사
CCTV운영관리방침
통합검색서비스
KOR
ENG
JPA
中國語
검색
닫기
안내
인사말
관람/예약안내
시설소개
발자취
조직안내
미션
오시는길
전시
상설전시
특별전시
야외전시
실감영상실
온라인전시관
교육/행사
교육프로그램
문화행사
교육자료실
온라인배움터
오디오클립
이달의행사
소장자료
학술연구
발간도서
소장품복제, 열람
보존처리
문화재기증
수어동영상
소장품검색
참여
박물관소식
자원봉사
정보공개
어린이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소개
어린이박물관 구석구석
관람안내/ 관람TIP
사이트맵(누리집지도)
본인확인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민원
저작권정책
설문조사
CCTV운영관리방침
통합검색서비스
관람안내
평일(화~일)
09:00~18:00
휴관일
1월1일,설,추석,
매주(월)
문의
064-720-8000
안내
전시
교육/행사
소장자료
참여
어린이박물관
페이지 공유
트위터
페이스북
인쇄
총 60 건 / 금일 : 0건
게시물검색
타이틀을 지정해주세요(FormBoxClass::setTitle)
제목
내용
작성자
[수어동영상] 24.전복껍데기 칼
전복껍데기 칼 바다로 둘러싸인 제주에서는 종종 대형 조개의 단단한 껍데기를 이용해 생활도구를 만들어 썼습니다. 앞에서 보았던 전복껍데기 화살촉이 그렇습니다. 이것은 날카로운 전복 껍데기로 반달모양 돌칼과 비슷하게 만든 칼로 곡물을 수확할 때 사용한 도구입니다. 전복껍데기로 만든 칼은 석기를 만들 단단한 돌이 부족했던 제주의 사람들이 자연 환경에 적응하며 만들어낸 독특한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Abalone Knives The tough shells of large clams were often used to make everyday tools on Jeju Island. The abalone shell arrowhead...
등록일
2021-01-11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73
[수어동영상] 23. 용담동 독널
용담동 독널 제주시 용담동에서 아가리가 넓은 두 개의 항아리를 맞붙여 만든 독널이 발굴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독널은 신석기시대부터 사용되었지만 제주에서는 초기 철기시대부터 삼국시대에 이르는 시기에 계속 사용되었습니다. 용담동 유적의 독널무덤 주변에는 철제 무기가 껴묻기된 돌덧널무덤이 있어 탐라시대의 장례 풍습 변천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Jar Coffin from Yongdam-dong This jar coffin, which consists of two wide-mouthed jars, was discovered at the site of Yongdam-dong in Jeju City. Such ...
등록일
2021-01-11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15
[수어동영상] 22. 삼화지구 독널
삼화지구 독널 큰 독이나 항아리 등의 토기를 널(관)로 사용한 독무덤입니다. 독널의 크기로 보아 어린아이의 주검이나 어른의 뼈를 추려 매장한 것으로 보입니다. 제주시 삼화지구 유적에 있는 독무덤은 제주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이른 시기에 해당하며, 큰 토기 2점을 서로 맞붙여 만들었습니다. 삼화지구 유적의 독무덤은 구덩이를 파고 독널을 놓은 다음 독널 주위에 돌을 채우고 흙으로 덮는 방법으로 만들었습니다. Jar Coffin Burial Ceramic vessels, such as large jars, were used as coffins and placed in graves. These jar coffins contain...
등록일
2020-12-24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55
[수어동영상] 21. 중국 동전과 청동거울
중국 동전과 청동거울 제주 산지항에서는 중국 한나라 때 만든 오수전을 비롯해 화천, 대천오십 같은 중국 동전과 청동으로 만든 본뜬거울이 출토되었습니다. 이 유물들은 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는데, 제주가 한반도뿐만 아니라 중국이나 일본 등과도 교류하면서 수입되었던 물품입니다. 본뜬거울은 많이 부식되어 무늬를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가운데 부분에 연이은 원무늬가 있고 바깥 부분에 빗살무늬가 있습니다. Chinese Coins and Bronze Mirrors Wushu coins issued by the Han Dynasty of China and other Chinese coins, such as huoquan and D...
등록일
2020-12-15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79
[수어동영사] 20. 꾸미개
꾸미개 제주에서는 경옥, 유리옥, 유리구슬, 납석 등 수입된 재질로 만든 귀한 장신구들이 출토되었습니다. 청동기시대 이후로 점차 수량이 많아지는데, 이는 제주와 다른 지역의 활발한 교류를 보여줍니다. 옥이 생산되지 않는 제주에서는 때로는 흙으로 빚어 구운 구슬이나 굽은 옥 같은 모양의 꾸미개를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Personal Ornaments Precious ornaments made with imported materials, such as jade, glass, and agalmatolite, have been discovered from sites on Jeju Island. From the Bronze Age,...
등록일
2020-12-08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99
[수어동영상] 19. 옥환
옥환 제주시 삼양동유적에서 출토된 옥환(옥으로 만든 고리)은, 모양이나 형태로 보아 중국이나 낙랑 등의 지역과 교류하면서 건너온 유물이라고 여겨집니다. 우리나라의 다른 지역에서는 출토된 적이 없고 낙랑 지역이나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 비슷한 유물이 발견된 적이 있습니다. 삼양동유적에서 다른 주거지에 비해 규모가 큰 주거지에서 출토된 이 옥환은 높은 신분의 사람이 꾸미개 또는 자신의 권위를 과시하는 위신재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Jade Ring This ring-shaped jade ornament, discovered at Samyang-dong, in Jeju City, is highly likely to have ...
등록일
2020-12-02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59
[수어동영상] 18. 한국식 동검
한국식 동검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에서 발견된 청동검으로 검의 날 부분이 곧은 ‘한국식동검’입니다. 한국식 동검은 몸체의 폭이 좁고 끝이 뾰쪽하여 가늘고 긴 형태로 양날이 곧습니다. 또한 검의 모체와 손잡이를 따로 만드는 것도 특징입니다. 청동기가 생산되지 않는 제주에서 이 동검은 아무나 가질 수 없는 귀한 물건이었습니다. 기원전 4세기 무렵, 제주 지역에서 큰 권력을 지녔던 사람이 소유했던 검으로 보입니다. Korean-type Bronze Dagger This bronze dagger with a slender blade is a “Korean-type bronze dagger” that was discovered at t...
등록일
2020-11-17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371
[수어동영상] 17. 간석기
간석기 돌을 갈아 만든 간석기는 일반적으로 신석기시대의 특징적인 유물로 꼽히지만, 청동기시대에 본격적으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나무를 찍거나 패는 돌도끼, 돌도끼에 홈을 파서 줄로 자루에 묶어 나무를 다듬을 때 쓴 홈자귀 등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간석기입니다. 이 밖에도 자귀와 끌 같은 목공구, 반달돌칼과 갈돌 같은 농기구, 화살촉과 그물추 같은 사냥 및 어로 용구, 가락바퀴와 숫돌 같은 일상생활용품 등 다양한 간석기들이 사용되었습니다. Ground Stone Tools Ground stone tools are generally seen to be representative of the Neolithic Period, ...
등록일
2020-10-27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333
[수어동영상] 16. 간돌칼
간돌칼 간돌칼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입니다. 자루(손잡이)까지 있는 간돌칼과 자루 대신 슴베로 나무자루에 결합하여 사용한 간돌칼이 있습니다. 간돌칼은 일상의 생활에서 사용하기보다는 죽은 사람을 위해 무덤에 껴묻거리로 그리고 의례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제주시 삼화지구의 움무덤에서도 껴묻거리로 간돌칼이 발굴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간돌칼의 용도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Stone Daggers The polished stone dagger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artifacts of the Korean Bronze Age. Some daggers consist of a stone ...
등록일
2020-10-21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323
[수어동영상] 15. 굽 달린 접시
굽 달린 접시 서귀포시 화순리유적에서는 제주에서 보기 드문 굽 달린 접시들이 여러 점 출토되었습니다. 화순리유적은 제주 서남부 해안가에 있는 대규모 마을유적으로 여러 채의 집터와 함께 제사와 관련된 장소로 생각되는 터가 발견되었습니다. 제사 용기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굽 달린 접시와 다양한 제사 흔적들은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했던 당시 사람들의 정신세계를 잘 보여줍니다. Mounted Dish Several mounted dishes, which are rarely found on Jeju Island, were discovered at the site of Hwasun-ri. This large-scale set...
등록일
2020-10-13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300
[수어동영상] 14. 붉은간토기
붉은간토기 붉은간토기는 토기 겉면에 높은 온도에서 붉은색을 내는 산화철을 바르고 매끄러운 도구로 반질반질하게 문질러서 구운 토기입니다. 집터와 생활유적에서도 확인되지만 주로 고인돌이나 돌널무덤의 껴묻거리로 발견되고 있어 의례용으로 많이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제주에서는 상모리유적과 삼양동유적을 비롯해 여러 유적에서 붉은간토기가 출토되었는데, 대부분 작은 단지 모양입니다. Red Burnished Pottery Red burnished pottery was covered with a layer of iron oxide at a high temperature, which produces the red color, and ...
등록일
2020-10-07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310
[수어동영상] 13. 전복껍질 화살촉
전복껍질 화살촉 선사시대의 화살촉은 대부분 돌이나 금속으로 만들었지만, 제주에서는 전복껍질로 만든 화살촉이 발굴되었습니다. 제주 김녕리 궤네기 동굴유적에서 발굴된 30여 점의 전복껍질 화살촉들은 자루나 살대 속에 들어가는 부분인 슴베가 없는 형태로 의례용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전복껍질 화살촉은 화살촉을 만들기에 적당한 돌이 흔치 않았던 제주지역 사람들의 지혜가 엿보이는 유물입니다. Abalone Arrowheads Prehistoric arrowheads were usually made of stone or metals but abalone shell arrowheads have also been discover...
등록일
2020-09-29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85
목록
RSS
1
2
3
4
5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여러분들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최종수정일 : 2022-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