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회 박물관 아카데미 개최
- 작성자전체관리자
- 등록일2011-03-24 09:59:27
- 조회수5528
- 파일
제10회 박물관 아카데미 개최
-‘한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제주’수강생 모집 -
국립제주박물관(관장 권상열)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제10회 박물관 아카데미 - 한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제주>를 개최한다. 박물관 아카데미의 운영 시기는 1학기의 경우 4월~5월까지, 2학기는 9월~10월까지이다. 운영 일시는 매주 금요일 오후 2시~4시이며, 장소는 국립제주박물관 강당에서 진행된다. <박물관 아카데미>는 지난 2002년부터 ‘박물관 문화강좌’로 처음 출발하였으며, 올해부터는 상반기에 집중적으로 운영되던 강좌를 상 ․ 하반기로 나누고, 강의 횟수를 확대하는 등 프로그램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한편, <박물관 아카데미>로 명칭을 변경하여 운영하게 되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시작으로 하여 주변국과 세계로 영역을 확대해 나가는 등 다양한 주제로 운영되어 왔으며, 분야별 최고의 강사와 권위자들을 초빙하여 제주도민들의 큰 사랑을 받아왔다. 이러한 열의와 성원에 힘입어 국립제주박물관 <박물관 아카데미>는 명실상부 제주도내 최고의 문화강좌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한편, 국립제주박물관은 올해로 개관 10주년을 맞이하여 <제10회 박물관 아카데미>의 주제를 ‘한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제주’로 정하였다. 국립제주박물관은 이번 강좌를 통해 제주도민들이 다른 지역과는 다른 열악한 환경 등에도 불구하고 선조들이 이루어낸 제주도의 우수한 역사와 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제10회 박물관 아카데미>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 강의는 수강자들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 우리 문화유산의 인식과 미래’라는 주제로 수강생들에게 화두를 던져주는 시간으로 시작된다. 그리고 두 번째 시간부터는 해양 실크로드 ․ 문자도 ․ 한국의 고문서 ․ 몽골제국 ․ 고고학 ․ 해양신앙 ․ 하멜 ․ 한국의 대외교류 ․ 한국의 성곽의 구조와 특징 ․ 추사 김정희와 제주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강좌는 국내 최고 권위자들로 구성되었으며, 사진 등 다양한 자료를 통해 생동감 넘치는 강의구성으로 청강자들의 이해를 도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시간은 강의와 연계한 문화유적지 답사로 진행될 예정인데, 강의를 진행했던 전문가로부터 강의로만 들었던 설명을 직접 들을 수 있어 현장감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박물관 아카데미>개설과 함께『국립제주박물관 문화총서 10-한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제주』도 발간할 예정이다.
<박물관 아카데미>는 일반 성인 누구나 무료로 참가가 가능하며, 작년 <박물관 아카데미> 수료자들에게는『박물관 문화총서10 - 한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제저』를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1학기 수강신청 접수는 3월 28일(월)부터 4월13일(수)까지로 선착순 280명을 모집한다.
■ 프로그램 안내 ■
○ 일 시
1) 강 의 : 1학기 - 4. 15 ~ 5. 20 / 2학기 - 9. 16 ~ 10. 14, 매주 금, 14:00 ~ 16:00
2) 답 사 : 10월 4주차(예정)
※ 개강식 : 4. 15, 13:50~ 14:00 / 수료식 : 10. 14, 16:00 ~ 16:30
○ 장 소 : 국립제주박물관 강당, 문화유적지
○ 대 상 : 일반성인 280명, 선착순
○ 내 용 : 역사란 무엇인가? 外 11강좌, 답사 1회
○ 참 가 비 : 무료, 박물관 문화총서 교재구입비 수강자 부담
○ 접수기간 : 1학기 - 3. 28 ~ 4. 13 / 2학기 - 8. 29 ~ 9. 14
○ 접수방법 : 박물관 홈페이지(http://jeju.museum.go.kr)에서 신청서 다운로드
→ 1) 팩스(☎ 720-8150) 2) 이메일(mang75@korea.kr) 3) 우편접수
4) 방문접수 : 박물관 본관 1층 안내실에서 신청서 작성․접수
■ 강의일정 ■
구분 |
회 |
월일 |
주 제 |
강 사 |
---|---|---|---|---|
1학기 |
1 |
4/15 |
역사란 무엇인가? - 문화유산의 인식과 미래 - |
윤선태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
2 |
4/22 |
해양 실크로드와 제주 |
이희수 (한양대학교 인문학부 문화인류학과 교수) |
|
3 |
4/29 |
제주의 문자도와 유교문화 |
정병모 (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 교수) |
|
4 |
5/6 |
한국의 고문서와 제주 |
김동전 (제주대학교 사학과 교수) |
|
5 |
5/13 |
몽골제국, 제주에 주목하다 |
윤용혁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
|
6 |
5/20 |
고고학으로 보는 제주 |
이청규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
|
2학기 |
1 |
9/16 |
한국의 해양신앙과 제주인의 삶 |
김헌선 (경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2 |
9/23 |
하멜의 눈에 비친 제주 |
신동규 (동아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
|
3 |
9/30 |
한국 도자의 대외교류와 제주 |
김영원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
|
4 |
10/7 |
한국 성곽의 구조와 특징 그리고 제주의 성곽 |
차용걸 (충북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
|
5 |
10/14 |
추사 김정희와 제주 - 유배지에서 꽃피운 예술세계 - |
유홍준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
|
6 |
미정 |
관련 문화유적지 답사 |
추후공지 |
*상기 일정은 박물관 사정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습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국립제주박물관 학예연구실 유경하
(☎ 064-720-8108)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