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관람시간
09:00 ~ 18:00
휴관일
1월 1일, 설, 추석, 매주(월)
인스타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유투브
정보공개
관람안내
예약정보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제주박물관
KOR
ENG
JPA
中國語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안내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인사말
관람/예약안내
관람안내
예약안내
시설소개
배치안내도
대관안내
발자취
조직안내
미션
오시는길
전시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상설전시
중앙홀
섬, 제주
선사시대 제주
섬마을의 발전과 변화
탐라국
고려시대 제주
조선시대 제주
제주섬 사람들
기증문화재
특별전시
진행전시
지난전시
예정전시
야외전시
실감영상실
온라인전시관
교육/행사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교육프로그램
어린이/청소년
학교연계
성인
문화소통
특별전연계
문화행사
토요박물관산책
설, 추석명절행사
어린이문화재그리기만들기
문화가 있는날
교육자료실
온라인배움터
오디오클립
이달의행사
소장자료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학술연구
발간도서
소장품복제, 열람
소장품복제안내
소장품열람안내
보존처리
문화재
철제
복식
회화
문화재기증
기증 안내
기증 목록
수어동영상
소장품검색
참여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박물관소식
새소식
채용정보
고시공고
자원봉사
학생봉사활동
성인자원봉사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관련기준및서식
정보공개수수료
사전정보공표
정보공개자료
정보공개청구신청
공공데이터개방
어린이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어린이박물관 소개
어린이박물관 구석구석
관람안내/ 관람TIP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사이트맵(누리집지도)
본인확인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민원
저작권정책
설문조사
CCTV운영관리방침
통합검색서비스
KOR
ENG
JPA
中國語
검색
닫기
안내
인사말
관람/예약안내
시설소개
발자취
조직안내
미션
오시는길
전시
상설전시
특별전시
야외전시
실감영상실
온라인전시관
교육/행사
교육프로그램
문화행사
교육자료실
온라인배움터
오디오클립
이달의행사
소장자료
학술연구
발간도서
소장품복제, 열람
보존처리
문화재기증
수어동영상
소장품검색
참여
박물관소식
자원봉사
정보공개
어린이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소개
어린이박물관 구석구석
관람안내/ 관람TIP
사이트맵(누리집지도)
본인확인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민원
저작권정책
설문조사
CCTV운영관리방침
통합검색서비스
관람안내
평일(화~일)
09:00~18:00
휴관일
1월1일,설,추석,
매주(월)
문의
064-720-8000
안내
전시
교육/행사
소장자료
참여
어린이박물관
페이지 공유
트위터
페이스북
인쇄
총 60 건 / 금일 : 0건
게시물검색
타이틀을 지정해주세요(FormBoxClass::setTitle)
제목
내용
작성자
[수어동영상]36. 항파두리에서 나온 유물
항파두리성에서 나온 유물 애월읍 고성리에 있는 항파두리성은 진도의 삼별초가 여몽연합군과의 싸움에서 패한 후 제주로 옮겨와 마지막까지 항쟁을 벌인 군사기지입니다. 항파두리성은 돌로 쌓은 내성과 흙으로 쌓은 외성으로 구성된 2중의 성입니다. 그동안 진행된 발굴조사에서 20여 동의 건물터가 확인되었고, 연꽃무늬 수막새를 비롯한 기와, 벽돌, 청자 등 고려 후기의 많은 유물이 발굴되었습니다. Artifacts from Hangpaduri-seong Fortress Site In May of 1272, when the Sambyeolcho military unit was defeated by the Goryeo-Mongol forc...
등록일
2021-04-05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35
[수어동영상] 35. 용장성에서 나온 유물
용장성에서 나온 유물 고려는 40여 년 동안 원나라와 항쟁을 벌였지만, 결국 1270년 항복을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이를 거부한 삼별초는 강화도에서 진도로 이동하면서 승화후 온을 왕으로 삼아 원나라와의 전쟁을 계속했습니다. 진도 용장성은 이때 쌓은 성으로, 지금은 절터와 궁궐터가 남아 있습니다. 이 연꽃무늬 수막새와 도깨비얼굴 장식기와는 용장성 건물에 사용되었던 것입니다. Artifacts from Yongjang-seong Fortress Site In June of 1270, when Goryeo decided to move its capital to Gaegyeong after surrendering to the Mo...
등록일
2021-03-26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13
[수어동영상] 34. 최충헌 묘지명 탁본
최충헌묘지명 탁본 1219년 죽은 고려 후기의 무신 집권자 최충헌의 묘지명을 탁본한 것입니다. 죽은 사람의 이름, 신분, 행적 등을 돌에 새겨 무덤 옆에 묻은 것을 묘지명이라고 합니다. 최충헌은 60여 년에 걸친 최씨 무신정권의 기반을 마련한 인물입니다. 최충헌의 묘지명은 일제강점기에 발견되어 1918년 처음 공개되었으며 현재 도쿄국립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Rubbing of Stele for Choe Chungheon This rubbing of a stone stele is taken from the burial site of Choe Chungheon, a powerful military official of t...
등록일
2021-03-26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36
[수어동영상] 33. 수정사터에서 출토된 탑의 면석
수정사터에서 출토된 탑의 면석 수정사는 법화사와 더불어 고려시대 제주의 주요 사찰 중 하나로, 조선 초기에도 노비가 130여 명이나 되었다고 합니다. 수정사의 탑터에서는 점판암으로 만든 다층 석탑을 구성하던 여러 가지 재료들이 발굴되었는데, 그중에는 가운데 부분에 문이 새겨져 있고 그 양옆으로 인왕상이 대칭으로 새겨진 면석도 있었습니다. 인왕은 사찰이나 불전의 문 또는 불상을 지키는 수호신입니다. 이것은 고려시대 석탑에 새겨진 매우 드문 인왕상입니다. Stone Pagoda at Sujeongsa Temple Site Sujeongsa Temple along with Beophwasa Temple are two of the ...
등록일
2021-03-26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50
[수어동영상] 32. ‘중창’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기와
‘중창’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기와 법화사가 언제 처음 세워졌는지에 대한 문헌 기록은 없습니다. 그러나 법화사터에서 ‘지원육년기사 시중창 십육년 기묘필(至元六年己巳始重創十六年己卯畢)‘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어 절을 고쳐지은 연대가 정확히 알려졌습니다. 이것을 풀이하면 ’지원 6년에 중창을 시작하여 16년에 마치다‘라는 뜻입니다. 지원은 원나라 세조의 연호 지원 6년은 1269년(고려 원종 10년), 지원 16년은 1279년(충렬왕 5년)입니다. Roof Tile with Date Inscription Although Buddhism became widely spread in Korea during the Three...
등록일
2021-03-12
작성자
강옥희
조회수
209
[수어동영상] 31.법화사에서 나온 유물
법화사에서 나온 유물 서귀포시에 있는 법화사는 장보고가 건립했다고 전해지는 사찰입니다. 원나라가 고려를 지배하던 시기에 고쳐지었으며 한때 노비가 280여 명에 이를 정도로 규모가 상당히 컸다고 합니다. 법화사터의 발굴조사를 통해 고려청자, 중국 청자, 용과 봉황이 새겨진 막새기와 등의 유물이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용과 봉황 무늬 막새기와는 왕실 건축물에만 사용되는 것으로, 법화사 이외에서는 확인된 예가 없습니다. Artifacts from Beophwasa Temple Site At the excavation site of Beophwasa, a Buddhist temple that once stood in Jeju dur...
등록일
2021-03-12
작성자
강옥희
조회수
216
[수어동영상] 30. 신창리 해저에서 건져 올린 보물
신창리 해저에서 건져 올린 보물 제주시 신창리 앞바다에서 물질하던 해녀에 의해 알려진 후 중국 도자기와 금으로 만든 팔찌와 뒤꽂이 등이 세상 밖으로 나왔습니다. 이곳에서 발견된 대접의 안쪽 바닥에는 생산지를 알려주는 글씨가 새겨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이 유물들이 중국 남송대(1129~1279)의 룽취안 가마에서 만들어진 청자임을 밝혀졌습니다. 당시 중국은 도자기의 최대 수출국이었으며 고려와 일본은 주요 수입국이었습니다. 이 배는 고려 또는 일본으로 가다가 제주 신창리 앞바다에 침몰한 것으로 보입니다. Treasures Excavated Underwater in Shinchang-ri These Chinese potteri...
등록일
2021-02-26
작성자
강옥희
조회수
246
[수어동영상] 29. 금동 허리띠 꾸미개
금동 허리띠 꾸미개 고대 사회에서 옷을 여미기 위해 두른 허리띠는 점차로 권력과 신분을 나타내는 장신구로 바뀝니다. 천이나 가죽으로 만든 허리띠에 갖가지 화려한 모양의 꾸미개를 박거나 매달아 장식했습니다. 제주에서는 용담동 제사유적에서 유일하게 금동 허리띠 꾸미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금동 허리띠 꾸미개는 작은 못으로 위판과 아래판을 연결하고 위판에 인동당초무늬를 정교하게 돋을새김했습니다. Gilt-bronze Belt Ornament Belts gradually came to be used as a means of expressing power and social status in ancient societies. Var...
등록일
2021-02-18
작성자
강옥희
조회수
239
[수어동영상] 28. 용천동굴에서 나온 도기
용천동굴에서 나온 도기 제주시 김녕리에 있는 길이 3.4km의 용암동굴 용천동굴은 세계자연유산입니다. 그런데 용천동굴을 조사하는 동굴 곳곳에서 깨진 회색 도기 조각들을 발견했습니다. 8~9세기 통일신라시대의 도기들이었습니다. 깨진 모양이나 조각들이 흩어진 상태로 보아 대부분 일부러 깨트린 듯합니다. 일반적으로 일부러 깨트린 도기 조각은 제사와 관련된 유적에서 발견되는데, 혹시 빛 하나 없는 신비한 용천동굴에서 무언가를 간절히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지 않았을까 하고 상상해 봅니다. Artifacts from Yongcheondonggul Cave The 3.4 km long Yongcheondonggul Cave, locate...
등록일
2021-02-10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33
[수어동영상] 27. 고내리식토기
고내리식토기 한반도의 통일신라시기에 해당하는 제주의 탐라 후기에 만들어진 토기입니다. 유적이 발견된 지명을 따서 토기 이름을 ‘고내리식토기’라고 부릅니다. 고내리식토기는 여러 면에서 곽지리식토기와 차이를 보입니다. 고내리식토기는 바닥을 몸체와 이어 붙여 만들었으며, 입 지름과 바닥 지름이 거의 같고 목의 길이도 매우 짧습니다. 또한 당시 통일신라에서는 굴가마를 이용해 회색빛의 단단한 토기를 만들었지만 제주에서는 야외가마에서 토기를 구웠습니다. Gonae-ri Type Pottery Gonae-ri type pottery was produced during the late part of Jeju’s Tamna Period,...
등록일
2021-02-05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32
[수어동영상] 26.곽지리식토기
곽지리식토기 한반도의 삼국시대에 해당하는 제주의 탐라 전기에 만들어진 토기입니다.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곽지리식토기’라고 합니다. 많은 양의 굵은 모래를 섞은 흙으로 두텁게 빚은 곽지리식토기는 매우 단단하며 무게도 상당합니다. 또한 마치 나팔처럼 아래에서부터 밖을 향해 벌어져 입 부분이 토기 전체에서 가장 넓은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곽지리식토기가 만들어진 시기에 대규모 마을유적과 고인돌, 돌덧널무덤 같은 지배층의 무덤이 나타나고 있어 고대 사회가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Gwakji-ri Type Pottery Gwakji-ri type pottery was produced durin...
등록일
2021-01-26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72
[수어동영상] 25. 철제 무기
철제 무기 제주시 용담동의 돌덧널무덤에서는 철로 만든 검, 검 장식, 도끼, 화살촉 등 다양한 무기가 출토되었습니다. 이러한 철제 무기는 2세기경의 영남 지역 고분에서 출토된 것과 비슷하여 바다를 통해 두 지역 사이에 교류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또한 철이 생산되지 않는 제주에서 이와 같은 철기를 가질 수 있었던 사람은 높은 신분이거나 지배계급이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Iron weapons A wide array of iron weapons, including swords, sword decorations, axes, and arrowheads, were discovered within a stone line...
등록일
2021-01-26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12
목록
RSS
1
2
3
4
5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여러분들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최종수정일 : 2022-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