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관람시간
09:00 ~ 18:00
휴관일
1월 1일, 설, 추석, 매주(월)
인스타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유투브
정보공개
관람안내
예약정보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제주박물관
KOR
ENG
JPA
中國語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안내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인사말
관람/예약안내
관람안내
예약안내
시설소개
배치안내도
대관안내
발자취
조직안내
미션
오시는길
전시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상설전시
중앙홀
섬, 제주
선사시대 제주
섬마을의 발전과 변화
탐라국
고려시대 제주
조선시대 제주
제주섬 사람들
기증문화재
특별전시
진행전시
지난전시
예정전시
야외전시
실감영상실
온라인전시관
교육/행사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교육프로그램
어린이/청소년
학교연계
성인
문화소통
특별전연계
문화행사
토요박물관산책
설, 추석명절행사
어린이문화재그리기만들기
문화가 있는날
교육자료실
온라인배움터
오디오클립
이달의행사
소장자료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학술연구
발간도서
소장품복제, 열람
소장품복제안내
소장품열람안내
보존처리
문화재
철제
복식
회화
문화재기증
기증 안내
기증 목록
수어동영상
소장품검색
참여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박물관소식
새소식
채용정보
고시공고
자원봉사
학생봉사활동
성인자원봉사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관련기준및서식
정보공개수수료
사전정보공표
정보공개자료
정보공개청구신청
공공데이터개방
어린이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어린이박물관 소개
어린이박물관 구석구석
관람안내/ 관람TIP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사이트맵(누리집지도)
본인확인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민원
저작권정책
설문조사
CCTV운영관리방침
통합검색서비스
KOR
ENG
JPA
中國語
검색
닫기
안내
인사말
관람/예약안내
시설소개
발자취
조직안내
미션
오시는길
전시
상설전시
특별전시
야외전시
실감영상실
온라인전시관
교육/행사
교육프로그램
문화행사
교육자료실
온라인배움터
오디오클립
이달의행사
소장자료
학술연구
발간도서
소장품복제, 열람
보존처리
문화재기증
수어동영상
소장품검색
참여
박물관소식
자원봉사
정보공개
어린이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소개
어린이박물관 구석구석
관람안내/ 관람TIP
사이트맵(누리집지도)
본인확인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민원
저작권정책
설문조사
CCTV운영관리방침
통합검색서비스
관람안내
평일(화~일)
09:00~18:00
휴관일
1월1일,설,추석,
매주(월)
문의
064-720-8000
안내
전시
교육/행사
소장자료
참여
어린이박물관
페이지 공유
트위터
페이스북
인쇄
총 60 건 / 금일 : 0건
게시물검색
타이틀을 지정해주세요(FormBoxClass::setTitle)
제목
내용
작성자
[수어동영상] 48. 탐라빈흥록
탐라빈흥록 제주도에서 시행된 빈흥과의 내용과 합격자 명부를 기록한 책입니다. 정조는 어사 심낙수를 보내어 민생을 살피고 고령자들에게 잔치를 베풀며 문무과 시험을 치를 것을 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1794년 제주에서 빈흥과가 실시되었고, 합격한 사람들의 글과 명부 등이 실린 책이 이듬해 규장각에서 이라는 이름으로 발간되었습니다. 빈흥과는 지방 유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시험입니다. Tamna binheungnok (Special military and civil service examinations of 1793) In 1793, King Jeongjo sent Royal Inspector Sim Naksu to investi...
등록일
2021-06-11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199
[수어동영상] 47. 시권
시권 제주 출신의 서예가 오점(1764~1834)이 과거시험에 응시했던 답안지인 시권을 옮겨 적은 서첩입니다. 1786년 생원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된 이후 1792년 대과에 응시했던 시험 답안지로 보입니다. 제주뿐만 아니라 호남의 명필가로 알려져 있던 오점은 문장이 뛰어나 공문서 등을 많이 썼다고 합니다. 제주향교 계성사의 현판이 그가 쓴 글씨입니다. Sigwon, Answer Sheet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This is a manuscript of Oh Jeom’s (1764-1834) Civil Service Examination answer submissions. Oh plac...
등록일
2021-06-11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197
[수어동영상] 46. 제주목사 이익태 초상
제주목사 이익태 초상 1694년부터 약 2년간 제주목사를 지낸 이익태(1633~1704)의 초상화입니다. 이익태는 제주목사로 일하면서 관덕정, 군사훈련을 실시하는 연무정, 제주성 방어를 지휘하던 운주당, 향교 등을 다시 지었습니다. 이처럼 제주목을 정비하고 학문을 장려했던 그는 재임 기간 동안 행했던 업무와 제주 관련 역사 등을 기록한 문집 을 썼습니다. 의 표류인 기록에는 네덜란드인 하멜의 표류에 관해서도 서술되어 있습니다. Portrait of Jeju Magistrate Lee Iktae This is a portrait of Lee Iktae (1633-1704), who served as the Magistrate...
등록일
2021-05-27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09
[수어동영상] 45. 제주목사 이규원의 교지
제주목사 이규원의 교지 이규원(1833∼1901)을 제주목사로 임명하는 임명장입니다. 맨 끝에 ‘광서 17년 8월 초4일’이라는 날짜가 적혀 있습니다. ‘광서 17년’은 1891년입니다. 이규원은 정의현에서 일어난 민란과 일본인이 제주 연안을 무단 침탈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임명되었습니다. 그는 1894년까지 3년 동안 제주목사로 있으면서 흉흉한 민심을 안정시키고 굶주린 백성을 구제하는 등 바르고 어진 정치를 폈습니다. Royal Appointment Letter for Jeju Magistrate Lee Gyuwon This piece of document is the appointment document for M...
등록일
2021-05-21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08
[수어동영상] 44. 탐라순력도
탐라순력도 제주목사 겸 병마수군절제사 이형상이 1702년 제주의 각 고을을 순시하면서 거행했던 여러 행사들을 기록한 화첩입니다. 총 43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면마다 그림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탐라순력도에 수록되어 있는 그림들은 18세기 초 제주도의 관아와 성읍, 군사 등의 시설과 지형 및 풍물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귀중한 자료들입니다. Tamna Sunryeokdo This picture book is a collections of paintings made by the painter Kim Namgil, who accompanied Jeju Province Magistrate ...
등록일
2021-05-21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53
[수어동영상] 43. 제주속오군적부
제주속오군적부 제주 지역 속오군의 소속과 신원을 적어놓은 명부로, 17세기 후반 숙종 때 작성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군적부입니다. 군적부에는 군사 개인의 나이, 부친, 소속 고을, 거주지, 얼굴 모습, 수염 상태, 흉터, 기예 등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속오군은 임진왜란으로 무너진 지방군을 재편성하기 위해 조직한 지방의 예비군 군대로 일정기간 병역과 훈련을 마치고 유사시 국가 방어에 동원되었습니다. Jeju Sogogun Jeokbu, Master Roll of Sogo Troops in Jeju After a drastic loss of manpower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of...
등록일
2021-05-11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47
[수어동영상] 42. 탐라관풍안
탐라관풍안 제주 출신의 향토사학자 김석익이 고려시대부터 1945년까지 제주에서 근무했던 관리들의 이름, 치적 등을 기록한 책입니다. 고려 전기에 현령 파견된 최척경으로부터 해방으로 파직된 일제의 마지막 도사(島司) 오노 타라이시에 이르기까지 이〮취임 시기 및 교체 사유, 평가 등을 적어놓았습니다. 또한 뒷부분에는 제주 출신 문과(생원진사시 포함) 급제자들의 명단도 실려 있습니다. Tamna Gwanpungan This book compiles evaluations of all previous government officials in Jeju from the Goryeo period up to 1945. The evalu...
등록일
2021-05-03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26
[수어동영상] 41. 제주목 관아지 출토 유물
제주목 관아지 출토 유물 조선시대 제주에는 제주목, 정의현, 대정현 등 1목 2현이 설치되어, 제주목은 제주의 행정과 제주도 전반에 관한 업무를, 대정현과 정의현은 각 현의 행정을 맡았습니다. 제주목 관아는 중앙에서 파견된 목사가 업무를 보던 관청입니다. 제주목 관아지에서는 여러 채의 건물터를 비롯하여 글자가 새겨진 기와, 분청사기, 백자 등 많은 양의 유물들이 출토되어 제주목 관아의 위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Excavated Artifacts from Jeju Government Office Building Site During the Joseon Dynasty, Jeju was divided into the three...
등록일
2021-04-30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187
[수어동영상] 40. 탐라지도병서
탐라지도병서 1709년에 만든 제주도 지도와 그 서문입니다. 도면 전체를 3단으로 나누어 위와 아래에는 각 고을의 연혁, 행정단위, 인구, 군사, 재정, 명승고적 등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가운데 부분에 지도를 그렸습니다. 또한 한양에서 바라보는 시각을 기준으로 그려져 있기 때문에 지도의 윗부분이 남쪽, 아랫부분이 북쪽입니다. 서문의 기록에 따르면, 제주는 동서 140여 리, 남북 70여 리에 이르며, 당시의 총인구는 45,129명, 8,955가구입니다. 주요 오름과 포구도 자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Tamna Jidobyeongseo – A Map of Jeju This large map of Jeju made in ...
등록일
2021-04-30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186
[수어동영상] 39. 네 귀 달린 항아리
네 귀 달린 항아리 어깨 부분에 네 개의 고리가 달린 항아리입니다. 고려시대 몽골 병사들이 주로 사용했다고 해서 몽골병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고리에 끈을 달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중국 원나라 때 많이 만들어졌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서해안과 제주지역에서 발견되며, 일본에서는 큐슈지역에서 주로 발견됩니다. 네 귀 달린 항아리는 원나라와 고려와 일본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유물입니다. Potteries with Four Ears These are set of potteries that have four rings on their shoulders. These types of pottery, commonly referred ...
등록일
2021-04-30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194
[수어동영상] 38. 항파두리성 갑옷
항파두리성 갑옷 항파두리성 내성터 안에서 삼별초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철제 갑옷이 출토되었습니다. 전체적인 형태는 알 수 없지만, 작은 조각들을 이어 붙여서 만든 고려의 미늘갑옷으로 추정됩니다. 고려는 국가의 관리 하에 갑옷과 투구를 만들었으며, 갑옷의 전체적인 모습은 두루마기 형태로 어깨 부분이 없다는 기록이 전합니다. Armor from Hangpaduri-seong Fortress Site This metal armor was excavated from interior fortress sites of Hangpaduri Fortress. It is difficult to make out the overall shap...
등록일
2021-04-14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06
[수어동영상] 37. 고누놀이판
고누놀이판 항파두리성 내성터 안에서 출토된 돌에 새긴 고누놀이판입니다. 고누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말판놀이로, 말판에 말을 놓아 서로 많이 따먹거나 상대의 집을 차지하기를 겨루는 놀이입니다. 개성의 만월대에서도 이것과 유사한 것이 출토되었습니다. 항파두리성에서 출토된 고누놀이판은 삼별초 군사들이 여가 시간을 보내며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Gonu Nori Gameboard This artifact, a traditional board game, was excavated from the interior of the Hangpaduri Fortress site. In this game, players take turns ...
등록일
2021-04-06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18
목록
RSS
1
2
3
4
5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여러분들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최종수정일 : 2022-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