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관람시간
09:00 ~ 18:00
휴관일
1월 1일, 설, 추석, 매주(월)
인스타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유투브
정보공개
관람안내
예약정보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제주박물관
KOR
ENG
JPA
中國語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안내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인사말
관람/예약안내
관람안내
예약안내
시설소개
배치안내도
대관안내
발자취
조직안내
미션
오시는길
전시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상설전시
중앙홀
섬, 제주
선사시대 제주
섬마을의 발전과 변화
탐라국
고려시대 제주
조선시대 제주
제주섬 사람들
기증문화재
특별전시
진행전시
지난전시
예정전시
야외전시
실감영상실
온라인전시관
교육/행사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교육프로그램
어린이/청소년
학교연계
성인
문화소통
특별전연계
문화행사
토요박물관산책
설, 추석명절행사
어린이문화재그리기만들기
문화가 있는날
교육자료실
온라인배움터
오디오클립
이달의행사
소장자료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학술연구
발간도서
소장품복제, 열람
소장품복제안내
소장품열람안내
보존처리
문화재
철제
복식
회화
문화재기증
기증 안내
기증 목록
수어동영상
참여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박물관소식
새소식
채용정보
고시공고
자원봉사
학생봉사활동
성인자원봉사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관련기준및서식
정보공개수수료
사전정보공표
정보공개자료
정보공개청구신청
공공데이터개방
어린이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어린이박물관 소개
어린이박물관 구석구석
관람안내/ 관람TIP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사이트맵(누리집지도)
본인확인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민원
저작권정책
설문조사
CCTV운영관리방침
통합검색서비스
KOR
ENG
JPA
中國語
검색
닫기
안내
인사말
관람/예약안내
시설소개
발자취
조직안내
미션
오시는길
전시
상설전시
특별전시
야외전시
실감영상실
온라인전시관
교육/행사
교육프로그램
문화행사
교육자료실
온라인배움터
오디오클립
이달의행사
소장자료
학술연구
발간도서
소장품복제, 열람
보존처리
문화재기증
수어동영상
참여
박물관소식
자원봉사
정보공개
어린이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소개
어린이박물관 구석구석
관람안내/ 관람TIP
사이트맵(누리집지도)
본인확인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민원
저작권정책
설문조사
CCTV운영관리방침
통합검색서비스
관람안내
평일(화~일)
09:00~18:00
휴관일
1월1일,설,추석,
매주(월)
문의
064-720-8000
안내
전시
교육/행사
소장자료
참여
어린이박물관
페이지 공유
트위터
페이스북
인쇄
총 60 건 / 금일 : 0건
게시물검색
타이틀을 지정해주세요(FormBoxClass::setTitle)
제목
내용
작성자
[수어동영상]12. 삼양동식토기
삼양동식토기 제주시 삼양동유적은 초기 철기시대의 대표적인 마을 유적입니다. 집터, 고상가옥터, 토기 가마터, 쓰레기터, 도랑 유구를 비롯해 다양한 토기 유물이 발굴되었습니다. 특히 이 유적에서 발굴된 특징적인 그릇을 ‘삼양동식토기’라고 부릅니다. 삼양동식토기는 대체로 입 부분이 직립하거나 밖으로 벌어진 정도가 약하고 바닥이 입 부분보다 좁은 바리 또는 항아리 모양의 무늬 없는 토기입니다. Samyangdong-type Pottery Samyang-dong, which is the representative Iron Age settlement of Jeju Island, has yielded the remains of dwel...
등록일
2020-09-22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86
[수어동영상] 11. 조개팔찌
조개팔찌 표면이 매끈하고 단단한 투박조개로 만든 조개팔찌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해안의 신석기시대 무덤 유적에서 발견되지만 제주에서는 청동기시대 유적에서도 확인됩니다. 조개팔찌는 무덤의 껴묻거리 이외에도 교역용으로 이용되었습니다.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유적에서 나온 미완성품에서 완성품에 이르는 다양한 조개팔찌는 팔찌의 제작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유물입니다. Shell Bracelets Shell bracelets were made using shells from the Glycymeris albolineata clam, which is strong and has a smooth surface. Shell...
등록일
2020-09-15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368
[수어동영상] 10. 구멍무늬토기(공렬토기)
구멍무늬토기(공렬토기) 구멍무늬토기(공렬토기)는 토기의 입 아래쪽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구멍을 뚫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입니다. 종종 입구 끝부분에 날카로운 도구나 손톱으로 짧은 눈금 무늬나 골을 새기기도 합니다. 이러한 형식의 토기는 청동기시대 전기에 한반도 남부 전역에 퍼졌는데, 제주의 구멍무늬토기는 청동기 전기에서 후기까지의 유적에서 확인되고 있습니다. Perforated-rim Pottery Perforated-rim pottery, which features evenly spaced perforations below its rim,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eramics of...
등록일
2020-09-08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43
[수어동영상] 09. 식물화석
식물화석 송악산은 얕은 바다에서 한 번, 그리고 다시 그 중앙에서 한 번 더 폭발한 화산입니다. 이렇게 화산이 폭발할 때 공중에 뿌려진 아주 작은 돌 알갱이들을 화산재라고 합니다. 송악산 주변의 화산재가 퇴적되어 만들어진 층에서 참나무과의 너도밤나무를 비롯해 상수리나뭇잎, 고사리잎 등의 식물화석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식물들을 통해 퇴적층이 만들어졌을 당시 제주도 서쪽 해안가에서 서식하고 있던 식물의 종류와 제주의 기후 등을 알 수 있습니다. Plant Fossils Mt. Songaksan is a volcano that erupted once in the shallow waters of the ocean and once ...
등록일
2020-09-01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325
[수어동영상] 08. 덧무늬토기
덧무늬토기 토기의 겉면에 흙으로 만든 띠를 붙여 장식한 토기를 덧무늬토기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해안, 남해안, 제주 등지에서 주로 확인되며 빗살무늬토기보다 이른 시기인 약 8천 년 전에서 6천 년 전 사이에 유행했습니다. 덧무늬토기의 덧띠는 매우 다양한 모양과 장식을 하고 있는데, 특히 기하학적인 무늬를 많이 붙여 넣었습니다. 이 토기는 세 개의 줄을 율동감 있게 붙인 것이 특징입니다. Raised Design Pottery Raised design pottery was made by attaching clay bands to the outer surface of a vessel. This type of potte...
등록일
2020-08-25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87
[수어동영상] 07. 흙으로 만든 깔때기
흙으로 만든 깔때기 흙으로 만든 깔때기입니다. 물 등의 액체를 흘리지 않고 옮겨 담을 수 있도록 나팔 모양의 아가리에 대롱이 달려 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모양의 깔때기가 신석기시대 유적인 부산 동삼동패총에서도 출토되었습니다. 지금 우리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러한 도구가 신석기시대부터 만들어져 사용되었다니 신기합니다. 이를 통해 신석기시대에 이미 기능에 따라서 다양한 토기를 만들어 사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Funnel-shaped Pottery This example of funnel-shaped pottery, which was used to pour liquids without spillage, consists...
등록일
2020-08-18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70
[수어동영상] 06. 갈판과 갈돌
갈돌과 갈판 갈판과 갈돌은 도토리 같은 야생열매나 씨앗의 껍질을 벗기거나 곡물의 가루를 내기 위해 사용한 도구입니다. 곡물 등을 놓는 갈판과 밀면서 사용하는 갈돌이 한 짝을 이룹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가장 많이 출토되는데, 이는 신석기시대 사람들이 어떻게 곡물 등을 가공했는지 보여줍니다. 고산리유적에서 출토된 갈판과 갈돌에서 밀이나 벼과 식물의 흔적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야생 곡물을 채집하여 먹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Saddle Querns The saddle quern was used to grind grains and to remove the outer skin of wild berries and se...
등록일
2020-08-04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407
[수어동영상] 05. 고산리식 토기
고산리식토기 제주 고산리유적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시대 토기가 발굴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신석기시대를 대표하는 빗살무늬토기보다 앞선 이 토기는 고산리유적에서만 특징적으로 출토되었기 때문에 ‘고산리식토기’라고 부릅니다. 고산리식토기는 문양이 없고 깊은 바리 모양으로 토기를 빚을 때 풀과 같은 식물을 넣어 흙이 좀 더 잘 뭉치도록 했습니다. 대부분 적갈색을 띠며 토기의 안쪽과 표면에는 불에 탄 식물 줄기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Gosan-ri Type Pottery The earliest type of Korean pottery, which dates to the Neolithic Period, was disco...
등록일
2020-07-28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70
[수어동영상] 04. 화살촉
화살촉 지금으로부터 약 1만 년 전 제주 고산리 지역에 살던 사람들이 만든 화살촉입니다. 우선 석기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비교적 넓고 큰 변을 떼어 낸 후, 생각했던 형태를 만들기 위해 다시 잘고 좁게 떼어 내는 눌러떼기로 정교하게 만들었습니다. 삼각형 · 물고기모양 등 여러 가지 모양의 화살촉은 날쌘 동물, 새, 물고기 등을 잡기에 좋은 도구로 신석기시대 사람들의 생업활동을 잘 보여줍니다. Stone Arrowheads These stone arrowheads were made around 10,000 years ago by people who resided in the area of Gosan-ri on Jeju Is...
등록일
2020-07-23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21
[수어동영상] 03. 생수궤유적의 석기
생수궤유적의 석기 2010년 서귀포시 서귀동 천지연폭포 동쪽 절벽 아래에 있는 생수궤에서 긁개, 밀개, 톱니날 석기, 돌날, 돌날몸돌 등 후기구석기시대의 유물 100여 점이 발굴되었습니다. 이 석기들에 남아 있는 사용 흔적은 생수궤유적의 사람들이 사냥을 하거나 식물 등을 채취하며 살았음을 보여줍니다. 생수궤유적은 고고학적 발굴조사에 의해 확인된 제주의 첫 구석기시대 유적이라는 점에 큰 의의가 있습니다. ‘생수궤’는 샘이 솟는 바위그늘(굴)’을 일컫는 제주말입니다. Artifacts from Saengsugwe Rock Shelter In 2010, approximately one hundred artifacts dating ...
등록일
2020-07-17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236
[수어동영상] 02. 찍개
찍개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조면암 자갈돌의 한쪽 가장자리를 깨뜨려 떼어낸 외날찍개입니다. 찍개는 동물의 살을 자르고 뼈를 부러뜨리는 일, 식물의 가지를 끊거나 뿌리를 파내는 일, 나무를 다듬는 일 등에 사용되었던 구석기시대의 석기입니다. 최근 제주에서는 약 2만 5천 년에서 1만 5천 년 전인 가장 추운 빙하기 때의 퇴적층에서 구석기시대의 뗀석기들이 발굴되었습니다. 이것으로 보아 그 당시 제주에 구석기 문화가 유입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Chopper This chopper was made by removing flakes from one face of a trachyte pebble stone, which is a...
등록일
2020-06-19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411
[수어동영상] 01. 갈색곰뼈
갈색곰 뼈 제주시 애월읍 빌레못동굴에서 발견된 갈색곰뼈입니다. 용암동굴인 빌레못동굴에서는 갈색곰 뼈 뿐 만 아니라 대륙사슴, 큰노루 등 대륙의 추운 기후에 사는 동물뼈들도 함께 발견되었습니다. 이 동물들은 제주가 육지와 연결되어 있었다고 여겨지는 10만 년 전에서 4만 년 전의 빙하기 때 제주에 들어온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빌레’는 ‘넓고 평평한 큰 돌’을 일컫는 제주말 입니다. Bear Bones These bones of a brown bear were discovered in Billemotdonggul Cave, located in Eoeum-ri, Jeju-si. The bones of the Manchuria...
등록일
2020-06-19
작성자
전체관리자
조회수
356
목록
RSS
1
2
3
4
5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여러분들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최종수정일 : 2022-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