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관람시간
09:00 ~ 18:00
휴관일
1월 1일, 설, 추석, 매주(월)
인스타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유투브
정보공개
관람안내
예약정보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제주박물관
KOR
ENG
JPA
中國語
검색
전체메뉴
전체메뉴
안내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인사말
관람/예약안내
관람안내
예약안내
시설소개
배치안내도
대관안내
발자취
조직안내
미션
오시는길
전시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상설전시
중앙홀
섬, 제주
선사시대 제주
섬마을의 발전과 변화
탐라국
고려시대 제주
조선시대 제주
제주섬 사람들
기증문화재
특별전시
진행전시
지난전시
예정전시
야외전시
실감영상실
온라인전시관
교육/행사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교육프로그램
어린이/청소년
학교연계
성인
문화소통
특별전연계
문화행사
토요박물관산책
설, 추석명절행사
어린이문화재그리기만들기
문화가 있는날
교육자료실
온라인배움터
오디오클립
이달의행사
소장자료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학술연구
발간도서
소장품복제, 열람
소장품복제안내
소장품열람안내
보존처리
문화재
철제
복식
회화
문화재기증
기증 안내
기증 목록
수어동영상
소장품검색
참여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박물관소식
새소식
채용정보
고시공고
자원봉사
학생봉사활동
성인자원봉사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관련기준및서식
정보공개수수료
사전정보공표
정보공개자료
정보공개청구신청
공공데이터개방
어린이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어린이박물관 소개
어린이박물관 구석구석
관람안내/ 관람TIP
국립제주박물관
제주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국립제주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실감영상실
사이트맵(누리집지도)
본인확인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민원
저작권정책
설문조사
CCTV운영관리방침
통합검색서비스
KOR
ENG
JPA
中國語
검색
닫기
안내
인사말
관람/예약안내
시설소개
발자취
조직안내
미션
오시는길
전시
상설전시
특별전시
야외전시
실감영상실
온라인전시관
교육/행사
교육프로그램
문화행사
교육자료실
온라인배움터
오디오클립
이달의행사
소장자료
학술연구
발간도서
소장품복제, 열람
보존처리
문화재기증
수어동영상
소장품검색
참여
박물관소식
자원봉사
정보공개
어린이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소개
어린이박물관 구석구석
관람안내/ 관람TIP
사이트맵(누리집지도)
본인확인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민원
저작권정책
설문조사
CCTV운영관리방침
통합검색서비스
소장자료
학술연구
발간도서
소장품복제, 열람
소장품복제안내
소장품열람안내
보존처리
문화재
철제
복식
회화
문화재기증
기증 안내
기증 목록
수어동영상
소장품검색
관람안내
평일(화~일)
09:00~18:00
휴관일
1월1일,설,추석,
매주(월)
문의
064-720-8000
수어동영상
소장자료
>
수어동영상
소장자료
안내
전시
교육/행사
소장자료
참여
어린이박물관
수어동영상
학술연구
발간도서
소장품복제, 열람
보존처리
문화재기증
수어동영상
소장품검색
페이지 공유
트위터
페이스북
인쇄
총 60 건 / 금일 : 0건
게시물검색
타이틀을 지정해주세요(FormBoxClass::setTitle)
제목
내용
작성자
[수어동영상] 60. 무구
무구 무당이 굿을 하거나 점을 칠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제주에서는 명도(멩두), 요령, 산판 등이 중요한 무구입니다. 요령은 신을 부를 때, 멩두와 산판은 점을 칠 때 주로 사용합니다. 또한 굿판을 벌어지면 장구, 북, 징, 바라 등으로 연주를 합니다. Shaman’s Tool of Jeju Island Mugu, or divination tools, are used by shamans when performing healing ceremonies known as gut and divinations called jeom. In shaman rituals of Jeju, shamanic mirrors, handheld b...
등록일
2021-09-24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301
[수어동영상] 59. 토신함
토신함 제주 사람들은 칠성신을 집안의 부를 지켜주는 신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런데 고팡(창고)에 모시는 안칠성과 달리 집 뒤편에 둔 토신함에 ‘밧칠성’을 모셨습니다. 밧칠성은 뱀을 조상신 또는 업신으로 여기는 제주의 민간 신앙입니다. 토신함은 짚으로 집을 만들어 씌우기도 하지만 이처럼 돌집을 마련하여 모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Tosinham According to popular belief on Jeju, people thought of snakes as deities that looked after and brought wealth to their households. Referred to as chilsungsin, o...
등록일
2021-09-08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59
[수어동영상] 58. 허벅
허벅 제주도에서 물을 긷고 담아 나르는 물항아리를 ‘허벅’ 또는 ‘물허벅’이라고 합니다. 물허벅에는 열 되(약 18리터) 정도의 물이 담깁니다. 물허벅은 가는 대오리(대나무)로 만든 ‘물구덕’이라는 바구니에 넣어 등에 졌는데, 물이 넘치지 않도록 허벅의 주둥이를 좁게 만들어졌습니다. 가장 큰 바릇허벅, 어른들이 지고 다녔던 보통 크기의 허벅, 소녀들이 지고 다녔던 대배기(대바지) 허벅, 어린아이용인 애기 대배기 허벅 등이 있습니다. Heobeok – water jar This jar, called a heobeok, was commonly used to draw and transport water. Each of jars ...
등록일
2021-08-31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94
[수어동영상] 57. 제주의 말문화
제주의 말문화 말 목동인 ‘말테우리’가 입는 옷과 말꼬리로 만든 말총 공예품입니다. 태조가 위화도 회군에 탔던 말이 제주말이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명마로 여겨지던 제주말은 중요한 진상품이었습니다. 한라산을 중심으로 10여 개의 목마장에서 말을 키웠으며 제주목사는 공마를 점검하고 육지로 수송하는 일을 관리했습니다. 그런데 말이 다치거나 죽게 되면 말테우리가 책임을 지고 엄청난 말 값을 물어야 했다고 합니다. Equine Culture of Jeju Jeju horses were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ducts that were used as tribute tax to the central g...
등록일
2021-08-27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75
[수어동영상] 56. 물옷과 물질도구
물옷과 물질도구 제주에서 해녀들이 물질할 때 입는 옷과 도구입니다. 1702년에 그린 탐라순력도에 물옷을 입은 해녀 모습이 묘사되어 있어 그때부터 이미 물옷을 입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옷은 상의인 물적삼과 하의인 물소중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해녀들은 해산물을 채취하는 물질도구와 이를 보관하는 테왁망사리를 꼭 들고 다녔습니다. Swimsuits and Gears Used by Haenyeo These are traditional swimsuits and gear used by haenyeo, female divers of Jeju. We know from existing visual records in the Tamn...
등록일
2021-08-20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73
[수어동영상] 55. 서양인이 그린 조선 남해안지도
서양인이 그린 조선 남해안지도 1845~1884년 에드워드 벨처가 지휘하는 영국 군함 사마랑호가 조선 해역을 조사하고 그린 지도 중 제주 지도입니다. 에드워드 벨처는 세계 각지의 해안선 측량에 참가한 영국 해군으로 1845년 6월 25일 제주에 도착하여 우도를 기지로 삼아 약 37일간 머물면서 제주도, 거문도, 거금도 일대를 탐사하고 측량하여 해도와 항해기를 남겼습니다. Map of Southern Coast of Jeju This map was made during a British naval expedition in 1845 led by Edward Belcher (1799-1877), who was engaged i...
등록일
2021-08-11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325
[수어동영상] 54. 표해록
표해록 은 표류자가 귀국 후 바다에서의 아찔했던 경험, 표류했던 곳의 신기한 풍속과 제도 등을 기록한 책입니다. 장한철은 풍랑을 만나 표류하다 류쿠제도(오키나와)에서 일본으로 가는 상선을 만나 구조된 뒤 우여곡절 끝에 한양에 가서 과거에 응시하고 낙방한 뒤 귀향하여 을 썼습니다. 장한철의 에는 당시의 해로와 해류, 계절풍 등과 제주도의 전설이 풍부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Pyohaerok Pyohaerok is an eyewitness record of foreign lands and cultures after being set adrift by shipwreck. Two of the most famous of such ...
등록일
2021-08-11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85
[수어동영상] 53. 김정희 초상
김정희 초상 김석익이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서예가였던 김정희를 존경하는 마음으로 그린 초상화입니다. 김정희는 1840~1849년까지 제주 대정현에 유배되었는데, 유배 중에 추사체를 완성하고 를 비롯한 많은 서화를 남겼으며 학문적으로도 높은 경지에 올랐습니다. 또한 제주 유생들에게 학문과 서예를 가르치는 등 제주 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주어 큰 스승으로 존경받았습니다. Portrait of Kim Jeonghui This is a portrait of Kim Jeonghui created by Kim Seokik to honor the late master calligrapher. When Kim Jeonghui was exi...
등록일
2021-07-22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304
[수어동영상] 52. 최익현 초상
최익현 초상 조선 말기 유학자이자 항일 의병장 최익현의 74세 모습을 그린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고종의 어진을 그리기도 했던 당대 최고의 어진 화가인 채용신이 1905년에 그린 것입니다. 굵게 잡힌 주름, 허공을 응시하는 눈동자와 굳게 다문 입술 등은 노년의 의병장 최익현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Portrait of Choe Ikhyeon This is a portrait of Choe Ikhyeon (1883-1906), who was a Confucian scholar during late Joseon. The portrait was painted by Chae Yongsin in 1905, a renown...
등록일
2021-07-22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289
[수어동영상] 51.송시열의 글씨
송시열의 글씨 17세기 조선의 정계를 주도했던 송시열의 글씨입니다. 송시열은 제주도에서 111일의 짧은 유배 생활을 했지만 귤림서원에 배향되고 제주 오현의 한 명이 되었습니다. 이 글은 당나라 시인 두보가 지은 것으로 제갈공명 사당 앞의 오래된 측백나무에 빗대어 세상이 알아주지 않는 인재의 씁쓸함을 노래한 ‘고백행’이라는 칠언시입니다. Calligraphy of Song Siyeol Song Siyeol was a highly influential Confucian scholar and politician of the Noron faction. His writing references a famous Tang Dynast...
등록일
2021-07-09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305
[수어동영상] 50. 대동여지도 속 제주도
대동여지도 속 제주도 김정호가 1861년에 제작, 간행한 의 제주 부분의 지도입니다. 다른 제주 지도에 비해 실제의 지형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군사적으로 또는 행정적으로 중요한 항목들이 간결하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전 지도에서 오름을 단일 봉우리처럼 그린 것을 산맥처럼 표현했는데, 한라산 최고봉이 ‘혈망봉’이라 표기되어 있습니다. Jeju Depicted in Daedongyeojido, The Detailed Map of the Great East This is a map of Jeju Island from Daedongyeojido, The Detailed Map of the Great East, crea...
등록일
2021-06-24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310
[수어동영상] 49. 탐라기년
탐라기년 김석익이 938년부터 1904년까지의 제주 역사를 4권으로 나누어 연도별 기술한 역사책입니다. 1918년에 발간된 은 제주 사람이 쓴 첫 제주 통사로 평가됩니다. 한국사 연대를 먼저 쓰고 중국 연호를 뒤에 쓰는 등 주체적으로 역사를 서술한 이 책은 다시는 나라를 잃는 비운을 없게 하려는 마음에서 쓴 것이라고 합니다. Tamna Ginyeon (Chronological History of Jeju) This set of books is the history of Jeju from the year 938 of the Goryeo Dynasty all the way up to late Joseon in 1904. Thi...
등록일
2021-06-18
작성자
이한나
조회수
305
목록
RSS
1
2
3
4
5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여러분들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최종수정일 : 2022-07-02